CASE REPORT - KAO · 2019. 1. 15. · 만 아니라 오랜 구호흡 습관으로 붕괴된...

11
대한치과교정학회 임상저널 21 서론 방교합은 하악골이 교합 위치에 있는 상태에 상하악의 교합면 혹은 전치부 사이에 간이 존재하는 상태로 정의된다. 이는 상하악골의 과성장, 바람직하지 못한 호흡습관, 구치부의 과맹 , 상하악 전치의 맹출부족 등의 원인 요소가 복합 되어 발생하며 원인 요소와 현재의 상태에 따라 혹은 비수술적인 방법으로 치료하게 된다. 개방 교합의 비수술적 치료는 원인 요소를 수정 혹은 단하면서 전치부의 정출, 구치부 함입, 소구치 , 교합평면의 회전 등의 방법으로 시행한다. 장기 환자의 경우 악습관의 차단과 함께 골격적 조화를 해소해 있는 여지가 있지만 치료 바람직하지 않은 잔여 성장의 가능성의 어려 움도 존재한다. 따라서 치은 상악 전치부의 노출 , 안면 고경의 변화, 재발의 가능성, 잔여 성장량 평가를 주의깊게 평가하여 치료를 진행해야 . 증례에서는 골격적 III 개방교합을 보이는 환자에서 교정적 절충치료를 시행하였다. 증례 통해 진단과 치료계획 수립과정, 치료 종료 시기 결정시 어떤 점들을 고려하였는지 함께 고찰해 보고자 한다. 증례 진단 126개월의 여자환자로 아래턱이 크고 앞니 다물어지지 않는다주소로 내원하였다. CASE REPORT 잔여 성장이 남아있는 골격적 III급, 개방교합 환자의 치험례 ste 이종현•정동화 단국대학교 치과대학 치과교정학 교실 이종현/전공의, 정동화/교수 단국대학교 치과대학 치과교정학 교실 교신저자 : 정동화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단대로 119 단국대학교 치과병원 치과교정과 041-550-0231, e-mail : [email protected] Dr. 정 동 화 Dr. 이 종 현

Transcript of CASE REPORT - KAO · 2019. 1. 15. · 만 아니라 오랜 구호흡 습관으로 붕괴된...

Page 1: CASE REPORT - KAO · 2019. 1. 15. · 만 아니라 오랜 구호흡 습관으로 붕괴된 buccinator mechanism의 회복과 비강과 인두 영역을 확장시킴 으로써6-8

대한치과교정학회 임상저널 21

서론

개방교합은 하악골이 교합 위치에 있는 상태에

서 상하악의 교합면 혹은 전치부 사이에 공

간이 존재하는 상태로 정의된다. 이는 상하악골의

과성장, 바람직하지 못한 호흡습관, 구치부의 과맹

출, 상하악 전치의 맹출부족 등의 원인 요소가 복합

되어 발생하며 원인 요소와 현재의 상태에 따라 수

술 혹은 비수술적인 방법으로 치료하게 된다. 개방

교합의 비수술적 치료는 원인 요소를 수정 혹은 차

단하면서 전치부의 정출, 구치부 함입, 소구치 발

치, 교합평면의 회전 등의 방법으로 시행한다. 성

장기 환자의 경우 악습관의 차단과 함께 골격적 부

조화를 해소해 줄 수 있는 여지가 있지만 치료 완

료 후 바람직하지 않은 잔여 성장의 가능성의 어려

움도 존재한다. 따라서 치은 및 상악 전치부의 노출

량, 안면 고경의 변화, 재발의 가능성, 잔여 성장량

의 평가를 주의깊게 평가하여 치료를 진행해야 한

다.

본 증례에서는 골격적 III 급 개방교합을 보이는

환자에서 교정적 절충치료를 시행하였다. 이 증례

를 통해 진단과 치료계획 수립과정, 치료 종료 시기

의 결정시 어떤 점들을 고려하였는지 함께 고찰해

보고자 한다.

증례

진단

12세 6개월의 여자환자로 “아래턱이 크고 앞니

가 다물어지지 않는다”는 주소로 내원하였다. 초

CASE REPORT

잔여 성장이 남아있는 골격적 III급, 개방교합 환자의 치험례ste 이종현•정동화

단국대학교 치과대학 치과교정학 교실

이종현/전공의, 정동화/교수

단국대학교 치과대학 치과교정학 교실

교신저자 : 정동화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단대로 119

단국대학교 치과병원 치과교정과

041-550-0231, e-mail : [email protected] Dr. 정 동 화Dr. 이 종 현

Page 2: CASE REPORT - KAO · 2019. 1. 15. · 만 아니라 오랜 구호흡 습관으로 붕괴된 buccinator mechanism의 회복과 비강과 인두 영역을 확장시킴 으로써6-8

22 CASE REPORT 3

잔여 성장이 남아있는 골격적 III급, 개방교합 환자의 치험례

진시 문진과 임상검사 결과 구호흡 습관 및 큰 편도

를 확인할 수 있었다. 안모의 분석결과 정모에서 비

대칭이나 횡적인 부조화는 관찰되지 않았으며 수

직적 비율상 하안모 1/3이 비교적 긴 모습을 나타내

었다. 측모에서는 턱 끝과 입술이 돌출된 오목형 안

모를 나타내고 있었다(그림 1). 구내 사진의 관찰결

과 좌우측의 미약한 III급 구치 및 견치관계를 나타

내고 있었으며 구치부 반대교합 및 전치부 개방 및

절단교합(수직피개 : -4.84mm, 수평피개 : 0.69mm)

을 보이고 있었다(그림 2). 측모 두부계측 방사선

그림 2. 초진시 구내사진

그림 1. 초진시 구외사진

Page 3: CASE REPORT - KAO · 2019. 1. 15. · 만 아니라 오랜 구호흡 습관으로 붕괴된 buccinator mechanism의 회복과 비강과 인두 영역을 확장시킴 으로써6-8

대한치과교정학회 임상저널 23

이종현•정동화

사진 분석상 전후방적인 관계는 SNA 77.87°, SNB

77.78°, ANB가 0.09°로 상악의 열성장이 동반된 골

격성 III급 관계를 나타내고 있었고, 수직적으로는

Lower Facial Height값이 55.86, Facial Axis가 86.49

로 수직 성장 양상을 나타내었다. 하악 평면과 하악

전치부 incisal edge와의 거리는 짧은 편이었지만,

기저골에 대한 상하악 전치부의 각도는 정상 수치

를 나타내고 있었다(그림 3, 표 1). 이에 따라 상악

의 열성장이 동반된 골격적 III급, 개방교합으로 진

단되었다.

그림 3. 초진시 Lateral cephalometry, panorama radiograph

표 1. 치료 전후 lateral cephalomtery 분석 비교

Mean Initial Final

Anterior – Posterior relationship

SNA(°) 81.08 77.87 78.03

SNB(°) 78.07 77.78 78.08

ANB(°) 3.45 0.09 -0.06

Vertical Analysis

Ant. Facial Height(mm) 128.68 127.71 132.86

Post. Facial Height(mm) 82.76 73.55 77.59

PFH/AFH 0.65 0.58 0.58

FMA 29.63 31.39 27.87

Lower Facial Height(°) 47.00 55.86 52.87

Facial Axis(°) 90.00 86.49 87.31

Dental Analysis

U1 to FH(°) 113.80 121.17 114.88

FMIA(°) 56.77 54.36 70.81

IMPA(°) 91.62 92.81 81.32

Overjet(mm) 3.20 0.69 2.19

Overbite(mm) 2.30 -4.84 1.21

Page 4: CASE REPORT - KAO · 2019. 1. 15. · 만 아니라 오랜 구호흡 습관으로 붕괴된 buccinator mechanism의 회복과 비강과 인두 영역을 확장시킴 으로써6-8

24 CASE REPORT 3

잔여 성장이 남아있는 골격적 III급, 개방교합 환자의 치험례

치료 계획

치료 목표는 골격적 I급 관계의 회복, 개방교합

의 수정, 좋은 교합관계 및 적절한 전치부 노출로

설정하였다. 저발육된 상악골을 회복시키기 위해

Facemask를 이용한 악정형 치료를 먼저 설명드렸

으나 환자와 보호자가 거부하였고, 성장 완료 후 악

교정 수술 역시 거부하였다. 따라서 추후 수술 가능

성에 대해 고지한 후 현재의 골격적 관계에서 교정

적인 절충치료를 진행하기로 결정하였다. 개방교

합 환자의 구호흡 습관을 제거하기 위해 이비인후

과적 치료를 의뢰하고 상악 확장 및 미니스크류를

이용한 하악 치열의 후방 이동으로 치료목표를 달

성하기로 하였다.

치료 경과 및 결과

본격적인 교정치료 시작 전 이비인후과에 의뢰를

하였고 편도절제술을 시행하였다. 편도절제술 후 4

개월 뒤에 내원하여 본격적으로 교정치료를 진행

하였다. 상악에 RME를 장착하여 확장을 시행하여

정중이개가 자연스럽게 해소되는 시점에 하악부터

018” Roth 브라켓(Synergy, RMO, Denver, CO) 부

착을 시작하였다(그림 4, 표 2). 상악에 같은 종류

의 브라켓을 부착하여 014” NiTi 호선을 이용하여

배열을 시작하였다. 한달 후 상악의 레벨링이 진행

되면서 전치부 반대교합이 발생하였다(그림 5). 치

료 8개월 째 상하악 모두 016x022” ss 호선이 삽입

된 후 하악의 잔여 공간 폐쇄 및 후방 이동, 교합평

면의 반시계방향 회전을 도모하기 위해 제2소구치

그림 4. 상악 확장 완료 후 구내사진 (교정치료 1개월 후)

표 2. 치료 전후 견치 및 구치부간 폭경 변화

상악 견치 상악 제1대구치 하악 견치 하악 제1대구치

Initial (mm) 33.94 53.24 27.06 51.76

Final (mm) 35.43 55.04 26.52 50.34

Page 5: CASE REPORT - KAO · 2019. 1. 15. · 만 아니라 오랜 구호흡 습관으로 붕괴된 buccinator mechanism의 회복과 비강과 인두 영역을 확장시킴 으로써6-8

대한치과교정학회 임상저널 25

이종현•정동화

와 제1대구치 사이 협측 부위에 직경 1.6mm, 길이

6mm의 미니 스크류를 식립하여 후방 견인을 시작

하였다(그림 6). 치료 18개월 후 하악 잔여 공간 폐

쇄 및 후방이동이 완료되었고 적절한 수평 및 수직

피개가 형성되어 구치부 정착을 시작하였다(그림

7). 치료 24개월 후 상하악 6전치 설측에 고정성 유

지장치 부착 후 치료 종료를 결정하였다. 치료 종

료시 구치 및 견치의 I급 관계가 관찰되었으며(그

그림 5. 교정치료 2개월 후 구내사진

그림 6. 미니스크류를 이용한 하악 치열의 후방견인

Page 6: CASE REPORT - KAO · 2019. 1. 15. · 만 아니라 오랜 구호흡 습관으로 붕괴된 buccinator mechanism의 회복과 비강과 인두 영역을 확장시킴 으로써6-8

26 CASE REPORT 3

잔여 성장이 남아있는 골격적 III급, 개방교합 환자의 치험례

그림 7. 교정치료 20개월 후 구내사진

그림 8. 치료 종료시 구내사진

림 8), 정상범위의 수평 및 수직피개량과 교합 형성

으로 좌우 측방운동시 견치유도가 잘 이루어지고

있는 것을 관찰할 수 있다(그림 9). 안모 변화는 크

진 않았지만 하악 치열의 후방이동 및 반시계 방향

회전으로 mentolabial sulcus가 명확하게 드러났고

E-line에 대한 구순의 돌출도 역시 정상범위로 개선

되었으며 안정위 및 미소시 상악전치의 노출량 역

시 정상범위에 존재하였다(그림 10, 표 3). 치료 종

Page 7: CASE REPORT - KAO · 2019. 1. 15. · 만 아니라 오랜 구호흡 습관으로 붕괴된 buccinator mechanism의 회복과 비강과 인두 영역을 확장시킴 으로써6-8

대한치과교정학회 임상저널 27

이종현•정동화

그림 9. 측방운동시 canine guidance의 형성

그림 10. 치료 종료시 구외사진

표 3. 치료 전후 E-line 변화(mm)

Mean Initial Final

Upper Lip -0.69 1.51 -0.08

Lower Lip 0.52 5.25 2.25

료시 파노라마 상에서 적절한 치근의 parallelism을

관찰할 수 있고(그림 11), 두부 계측 방사선사진 분

석결과 수직적 성장양상의 개선 및 하악 교합평면

의 회전을 관찰 할 수 있다(그림 12, 그림 13, 표 1).

치료종료 6개월 후 구내사진을 통해 안정적인 교

합 형태가 잘 유지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그림

14).

Page 8: CASE REPORT - KAO · 2019. 1. 15. · 만 아니라 오랜 구호흡 습관으로 붕괴된 buccinator mechanism의 회복과 비강과 인두 영역을 확장시킴 으로써6-8

28 CASE REPORT 3

잔여 성장이 남아있는 골격적 III급, 개방교합 환자의 치험례

그림 11. 치료 종료시 Panorama radiograph 그림 12. 치료 종료시 Lateral cephalometry

그림 13. 치료 전후 cephalometry 중첩

그림 14. 치료 종료 6개월 후 구내사진

Page 9: CASE REPORT - KAO · 2019. 1. 15. · 만 아니라 오랜 구호흡 습관으로 붕괴된 buccinator mechanism의 회복과 비강과 인두 영역을 확장시킴 으로써6-8

대한치과교정학회 임상저널 29

이종현•정동화

고찰

비록 성장기 치료가 환자와 보호자에 의해 거부

되었지만 부적절한 host factor의 개선으로 추후 발

생할 수 있는 성장양상을 변화 시킬 수 있다고 생각

되었다. 호흡 양식이 안면 성장에 미치는 영향은 오

래전 부터 연구되어 왔다. 두부 자세, 악골 및 혀의

위치, 힘의 평형 상태를 변화시켜 악골 성장과 치아

위치에 영향을 미친다고 알려져 있다.1-3 상기 환자

의 경우 첫 내원시 장안모 경향, 두부 자세, 좁은 상

악궁, 큰 편도 등의 임상검사와 수면시 호흡 형태에

대한 문진을 통해 구호흡 습관이 있다고 판단하였

다.

구호흡 습관을 차단하기 위해 편도 절제술과 함

께 상악 확장을 시행하였다. 편도 절제술 후 구호

흡 개선4과 함께 하악골의 반시계 방향의 성장이 나

타난다는 연구5 등을 바탕으로 시행된 치료였다. 상

악 확장의 경우, 상악에 추가적인 공간을 확보할 뿐

만 아니라 오랜 구호흡 습관으로 붕괴된 buccinator

mechanism의 회복과 비강과 인두 영역을 확장시킴

으로써6-8 원활한 비호흡을 유지시키기 위해 시행하

였다. Baratieri 등은 상악 확장을 통한 기도 영역의

증가 효과가 최소 11개월정도 안정적으로 유지된

다는 문헌 고찰을 시행한 바 있다.9 이는 성장기 구

호흡 환자에서 상악 확장을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근거가 될 수 있다 하겠다.

임상 영역에서 개방교합 환자의 관찰해보면, 초

진시 상악의 교합평면이 two plane인 경우가 다수

발견할 수 있다. 이 경우 악궁 확장이나 발치를 통

해 공간을 형성해주면 치아가 자연스럽게 이동을

하면서 상하악 교합평면이 일치하게 되고 개방교

합이 개선이 되는 경우가 많다. 이 증례에서도 상악

확장을 통해 발생한 부가적인 공간은 전치부의 자

발적 이동을 통해 폐쇄되었으며, 이 과정에서 상하

악의 교합 평면이 하나로 되면서 개방교합도 상당

히 개선되었다.

최근 mini-screw의 사용이 증가하면서 구치부

intrusion과 하악의 auto-rotation을 이용하여 전치

부 개방교합을 해소하는 증례들이 많이 보고되고

있다. 이러한 치료 전략은 과도한 수직적 성장 양상

을 보이면서 하악의 결핍이 동반되는 환자의 경우

에 매우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번 증례의

경우 골격적 III급 양상을 보이고 있어 하악의 auto-

rotation이 일어나면 하악이 더 전돌되어 보일 수 있

기 때문에 이러한 치료 전략을 선택하지 않았다. 이

때 중요하게 고려해야할 사항은 상악 전치부의 정

출만으로 개방교합을 해소하다보면 상악 전치부

및 치은의 노출이 증가하면서 비심미적인 미소를

만들수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하악 교합평면을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서 하악 전치부의 정출

을 동반하여 개방교합을 해소하고자 하였다. 하악

교합평면을 회전시키는 방법으로는 MEAW의 사용

과 mini-screw의 사용을 들 수 있겠다. MEAW와 III

급 고무줄의 사용은 환자의 협조도에 의존하는 치

료이기 때문에 mini-screw와 짧은 surgical hook을

사용하여 하악 치열의 저항중심 상방에서 retraction

을 시행하는 방법으로 교합평면의 회전을 유도하

였다.

아직 성장이 남아 있는 환자였기 때문에 잔여 성

장에 관한 고려를 해야했다. 먼저 안면 성장이 계

속 해서 일어나는 경우 기능하고 있는 치아는 하악

지의 수직 성장률과 같은 정도로 맹출되므로3,치

료 전략의 선택에 있어서 구치의 함입은 재발의 가

능성이 많을 것으로 생각하였다. 안면부 연조직 성

장 역시 주의 깊게 고려해야 하는데, 청소년기에

서 성인기에 이르기까지 상순의 수직적 길이는 약

3.2mm 증가하며,10 따라서 청소년기에 치료할 경우

성인의 기준보다 전치부가 더 많이 노출되도록 하

는 것이 더 이상적일 수 있다.3

마지막으로 성장 완료시점의 평가가 중요하다.

Page 10: CASE REPORT - KAO · 2019. 1. 15. · 만 아니라 오랜 구호흡 습관으로 붕괴된 buccinator mechanism의 회복과 비강과 인두 영역을 확장시킴 으로써6-8

30 CASE REPORT 3

잔여 성장이 남아있는 골격적 III급, 개방교합 환자의 치험례

치료 종료시점에서 환자의 수완부 방사선사진 (그

림 15) 상에서 정골의 성장이 끝나감을 확인할 수

있었지만 골령과 안면골 성장의 관계에 대한 논란

은 여전히 존재한다.11, 12 교과서적으로 가장 정확한

성장 지표는 연속된 두부 계측 방사선 사진이며, 이

를 확인하기 위해 치료 기간 중 찍은 두부 계측 방

사선 사진을 분석하였다(표 4). 치료 종료 전 약 10

개월간 하악체와 하악지의 성장량은 각각 0.3mm,

0.5mm 로 하악골의 성장이 끝나가는 것을 확인하

였고 치료 종료를 결정할 수 있었다.

표 4. 연속 촬영된 lateral cephalometry에서 하악체와 하악지의 길이 변화(mm)

초진 4개월 19개월 25개월 29개월

Mn. Body length 74.40 77.17 79.40 79.72 79.76

Ramus height 47.50 49.16 52.86 53.21 53.23

그림 15. 치료 중간 수완부 방사선 사진

결론

잔여 성장이 남아 있는 골격성 개방교합 화자의

절충치료에 있어 개방교합의 원인이된 습관의 차

단, 상악 확장을 통한 구내 및 호흡 환경의 개선, 상

악 전치부 정출 및 하악 교합평면의 회전, 성장을

고려한 치료방법을 선택함으로써 성공적으로 치료

할 수 있었다.

참고문헌

1. Linder-Aronson S. Adenoids. Their effect on mode of breathing and nasal airflow and their relationship to characteristics of the facial skeleton and the denition. A biometric, rhino-manometric and cephalometro-radiographic study on children with and without adenoids.Acta Otolaryngol Suppl 1970;265:1-132.

2. Fields HW, Warren DW, Black K, Phill ips CL. Relationship between vertical dentofacial morphology and respiration in adolescents. Am J Orthod Dentofacial Orthop 1991;99:147–54.

3. Proffit WR, Fields HW, Sarver DM. Contemporary Orthodontics. 5th ed. St. Louis, MO: Elsevier/Mosby, 2013;14.

4. Joshua B, Bahar G, Sulkes J, et al. Adenoidectomy: long term follow up. Otolaryngol Head Neck Surg 2006;135:576-80.

5. McNamara Jr JA. Influence of respiratory pattern on craniofacial growth. Angle Orthod 1981;51:269-300

6. De Felippe NLO, Da Silveira AC, Viana G, Kusnoto B, Smith B, Evans CA. Relationship between rapid maxillary

Page 11: CASE REPORT - KAO · 2019. 1. 15. · 만 아니라 오랜 구호흡 습관으로 붕괴된 buccinator mechanism의 회복과 비강과 인두 영역을 확장시킴 으로써6-8

대한치과교정학회 임상저널 31

이종현•정동화

expansion and nasal cavity size and airway resistance: short- and long-term effects. Am J Orthod Dentofacial Orthop 2008;134:370–82.

7. Kilic N, Oktay H. Effects of rapid maxillary expansion on nasal breathing and some naso-respiratory and breathing problems in growing children: a literature review. Int J Pediatr Otorhinolaryngol 2008;72:1595–601.

8. Iwasaki T, Saitoh I, Takemoto Y, Inada E, Kakuno E, Kanomi R, et al. Tongue posture improvement and pharyngeal airway enlargement as secondary effects of rapid maxillary expansion: a cone-beam computed tomography study. Am J Orthod Dentofacial Orthop 2013;143:235–45.

9. Baratieri C, Alves M, de Souza MMG, de Souza Araújo MT, Maia LC. Does rapid maxillary expansion have long-

term effects on airway dimensions and breathing? Am J Orthod Dentofacial Orthop 2011;140:146–56.

10. Pecora NG, Baccetti T, McNamara Jr JA. The aging craniofacial complex: a longitudinal cephalometric study from late adolescence to late adulthood. Am J Orthod Dentofacial Orthop 2008;134:496–505

11. Hunter WS, Baumrind S, Popovich F, Jorgensen G. Forecasting the timing of peak mandibular growth in males by using skeletal age. Am J Orthod Dentofacial Orthop 2007;131:327-33.

12. Verma D, Peltomaki T, Jager A. Reliability of growth prediction with hand-wrist radiographs. Eur J Orthod 2009;31:438–42.